제가 구입한 모델은 8600모델이구요,
요즘은 순정오디오도 어느정도 음질이나 출력등이 예전보다 많이 좋아져서
장착되어있는 순정오디오를 그냥 사용하는 전제로 하여 직접 장착을 해보았는데요,
순정이다 보니 별도의 서브우퍼용 출력(RCA)이 나와있지 않아 스피커출력인 [하이인풋]단자에 결선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실수가 있었던 부분이,본 제품에는 하이인풋 입력이 4선을 연결하도록 되어있고,
제품에 동봉되어 있는 결선도를 보면 각각 프론트 좌/우 스피커와 리어 좌/우 스피커의 +신호 부분만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렇게 해보니 제소리가 안나더군요.
그래서 제품을 자세히 살펴보니 프론트 또는 리어의 좌/우측 스피커의 +와-를 극성에 맞추어 연결하는 것이 맞더라구요.
그렇게 바꾸고 나니 제대로 된 소리가 나오더군요.
일반적으로 서브우퍼와 같이 고출력의 스피커를 가동하기 위한 앰프는
일반승용차의 전원전압인 12V의 저전압으로는 큰출력을 내지 못하므로 내부에 승압회로가 기본적으로 들어있어서 48V정도로 올려서 증폭한 후에 스피커를 구동하는데,
본제품은 저가형이다보니 승압회로없이 12V전원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대신
스피커를 2오옴의 보이스코일을 듀얼로 구동하여 출력을 최대로 구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600W의 출력은 무리겠구요 퓨우즈 용량이나 대략계산상으로 보아 150W~180W 정도의 출력은 나오리라 봅니다.
그리고 한가지,, RCA입력측은 연결해보지않아서 모르겠은나,
하이인풋의 입력단자의 입력레벨(증폭도)이 조금 낮게 설계되어있는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음압감도(dB)를 낮게 잡아서 설계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GAIN 조절기를 최대로 해놓고 오디오의 베이스레벨을 웬만큼 키워놓지 않고서는
메인음량을 상당히 키워도 서브우퍼의 출력이 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니까요.
이부분을 제외하고는 가격대비해서 소리와 성능은 많은 분들이 추천하셨던것처럼 괜챦은 제품이라 판단됩니다...^^
긴글 펼쳐보기 +
제가 구입한 모델은 8600모델이구요,
요즘은 순정오디오도 어느정도 음질이나 출력등이 예전보다 많이 좋아져서
장착되어있는 순정오디오를 그냥 사용하는 전제로 하여 직접 장착을 해보았는데요,
순정이다 보니 별도의 서브우퍼용 출력(RCA)이 나와있지 않아 스피커출력인 [하이인풋]단자에 결선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실수가 있었던 부분이,본 제품에는 하이인풋 입력이 4선을 연결하도록 되어있고,
제품에 동봉되어 있는 결선도를 보면 각각 프론트 좌/우 스피커와 리어 좌/우 스피커의 +신호 부분만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렇게 해보니 제소리가 안나더군요.
그래서 제품을 자세히 살펴보니 프론트 또는 리어의 좌/우측 스피커의 +와-를 극성에 맞추어 연결하는 것이 맞더라구요.
그렇게 바꾸고 나니 제대로 된 소리가 나오더군요.
일반적으로 서브우퍼와 같이 고출력의 스피커를 가동하기 위한 앰프는
일반승용차의 전원전압인 12V의 저전압으로는 큰출력을 내지 못하므로 내부에 승압회로가 기본적으로 들어있어서 48V정도로 올려서 증폭한 후에 스피커를 구동하는데,
본제품은 저가형이다보니 승압회로없이 12V전원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대신
스피커를 2오옴의 보이스코일을 듀얼로 구동하여 출력을 최대로 구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600W의 출력은 무리겠구요 퓨우즈 용량이나 대략계산상으로 보아 150W~180W 정도의 출력은 나오리라 봅니다.
그리고 한가지,, RCA입력측은 연결해보지않아서 모르겠은나,
하이인풋의 입력단자의 입력레벨(증폭도)이 조금 낮게 설계되어있는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음압감도(dB)를 낮게 잡아서 설계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GAIN 조절기를 최대로 해놓고 오디오의 베이스레벨을 웬만큼 키워놓지 않고서는
메인음량을 상당히 키워도 서브우퍼의 출력이 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니까요.
이부분을 제외하고는 가격대비해서 소리와 성능은 많은 분들이 추천하셨던것처럼 괜챦은 제품이라 판단됩니다...^^
글 접기 -